고관절질환
숙련된 의료진의 탁월하고 차별화된 시술로
고품격 의료서비스를 제공합니다.
대퇴골두 무혈성 괴사가 발생하면 다리를 벌릴 때 엉덩이와 사타구니가 당깁니다. 특히, 방바닥에 양반다리를 하고 앉으려면 사타구니와 넓적다리 옆 부분에 심한통증이 나타납니다.
특별한 외상의 병력이 없는데 갑자기 고관절 부위에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 평소 과다 한음주를 하거나 부신피질 호르몬과 같은 스테로이드를 장기간 사용한 적이 있는 경우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를 의심할 수 있습니다.
확진을 위해서 우선 단순 방사선(X-ray) 검사를 시행하고 필요한 경우 MRI(자기공명영상 Magnetic resonance imaging) 검사를 실시합니다.
대퇴골두 무혈성 괴사에는 수술적 방법을 고려합니다. 그러나,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것은 질병의 정도, 즉 대퇴골두의 함몰 정도로 판단하는데 빨리 발견하면 할 수록 인공관절을 하지 않고 원래 관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.
젊은 환자들의 경우 인공관절시기를 늦추기 위해 초기 단계에서 다발성 천공술(multipledrilling), 핵심감압술 (core decompression) 등을 실시하며, 병이 진행된 경우에는 인공관절로 대치하는 방법이 사용됩니다.
고관절에서 대퇴골 골두골괴사증은 말 그대로 대퇴골 골두에 피순환이 되지 않아 뼈가 괴사되는 병입니다.나이가 많고 이미 골괴사에 의해 대퇴 골두가 함몰이 된 경우에는 인공관절 수술을 해야 하나,환자의 나이가 젊고 대퇴골두가 함몰되기 전이라면 관절을 보존하는 감압술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.괴사된 부위에 구멍을 뚫고 죽은 뼈를 제거하고 뼈 안쪽에 압력을 줄여주고 피 순환을 도와 줌으로써 새로운 뼈 생성을 촉진시켜 본인의 뼈를 살리는 천공 감압술이나,본인의 뼈를 이식하는 골이식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.
고관절에 퇴행성 관절염이나 대퇴골 괴사 부위가 크고 관절 손상이 심하며 통증이 극심한 고령환자의 경우에는 망가진 관절을 제거하고 인공관절을 삽입하는 인공관절치환술을 시행합니다.